
참고지도·비지도·강화학습은 학습 방법(패러다임)의 구분머신러닝·딥러닝은 알고리즘/모델의 구분 즉, 모든 학습 방법은 머신러닝과 딥러닝 방식 모두로 구현될 수 있습니다.1. 지도학습 (Supervised Learning)정의: 입력과 정답(label)이 있는 데이터를 학습아이디어: 정답이 있어 입력 → 출력 관계를 배움문제 유형- 회귀(Regression): 연속값 예측 → 예: 집값 예측, 온도 예측- 분류(Classification): 범주 예측 → 예: 스팸 메일 판별, 고양이/강아지 이미지 분류대표 알고리즘: 선형/로지스틱 회귀, 결정트리/랜덤포레스트, SVM, KNN, 신경망2. 비지도학습 (Unsupervised Learning)정의: 정답(label) 없이 데이터의 구조나 패턴을 학습아이디..

이 글은 선형 회귀로 풀고자 하는 문제를 간단히 이해하기 위해 작성했습니다.※ 참고: 1차원 선형 회귀만 다뤘습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회귀 모델이 존재합니다. - 입력 변수가 여러 개인 다변수 회귀- 곡선 형태를 학습하는 다항 회귀 등 목차1. 선형 회귀란 무엇인가?2. 선형 회귀 한계3. 선형 회귀 수식4. 선형 회귀가 왜 필요한가?5. 선형 회귀의 핵심: 오차 최소화6. 오차를 줄이는 대표적인 방법: 경사 하강법 (Gradient Descent)7. 요약1. 선형 회귀란 무엇인가?선형 회귀(Linear Regression)는 주어진 데이터를 가장 잘 설명하는 직선 형태의 함수를 찾아, 새로운 값을 예측하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입니다. 즉, 독립 변수(x)와 종속 변수(y) 사이의 선형적 관계를 ..

딥러닝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면서 텍스트, 음성, 이미지, 시계열 데이터와 같이 시간적 흐름이나 공간적 패턴을 가진 데이터를 다루는 일이 많아졌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다양한 신경망 구조들이 제안되었고, 각 모델은 목적과 특성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대표적인 딥러닝 모델인 RNN, LSTM, GRU, CNN, Transformer의 개념과 특징을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내용 중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RNN (Recurrent Neural Network) RNN은 문장이나 음성처럼 순차적인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고안된 구조입니다.이전 단계의 출력을 현재 입력과 함께 처리함으로써, 시간에 따라 정보를 누적하고 기억..
- Total
- Today
- Yesterday
- event srource
- implicit tiling
- event streaming
- 오차 최소화
- z-order
- redis
- .b3dm
- 3d tiles 1.0
- morton order
- Kafka
- Live BMW
- cpu i/o
- explicit tiling
- content availability
- tile availability
- z-order curve
- bgsave
- kernel space
- 머신러닝
- sendfile()
- zero-copy
- redis bgsave
- Cesium
- append only
- child subtree availability
- user space
- the unix timesharing system
- implict titling
- b3dm
- transferto()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