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어가기에 앞서 일반적인 서버의 목적은 클라이언트 요청에 대해 적절한 응답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반환하는 것입니다.즉, 대부분의 서버는 다음과 같은 단순한 I/O 루틴을 반복합니다."입력(요청)을 받고 → 출력(응답)을 보낸다." 예를 들어, 웹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정적 파일(HTML, 이미지 등)을 전송하고,WAS(Web Application Server)는 DB에서 읽어온 사용자 데이터를 API 응답으로 보내며,FTP 서버는 파일을 반환합니다. 이러한 동작들은 모두 단순한 코드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read(fd, buffer, size);send(socket, buffer, size);하지만 이 단순한 동작 이면에서는 여러 번의 데이터 복사와 사용자 공간(user space)과 커널 공간..
컴퓨터과학/운영체제
2025. 5. 31. 20:35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cpu i/o
- morton order
- bgsave
- b3dm
- event streaming
- Kafka
- implicit tiling
- content availability
- 오차 최소화
- user space
- Live BMW
- child subtree availability
- event srource
- 3d tiles 1.0
- z-order
- .b3dm
- redis
- implict titling
- append only
- kernel space
- redis bgsave
- Cesium
- 머신러닝
- transferto()
- sendfile()
- zero-copy
- z-order curve
- explicit tiling
- the unix timesharing system
- tile availability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