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Virtual World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Virtual World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26)
    • 개발 노트 (6) N
      • Live BMW (2) N
      • 개발 가이드라인 (2)
    • 분산 시스템 (1)
    • 컴퓨터과학 (7)
      • 데이터베이스 (3)
      • 운영체제 (2)
      • 네트워크 (0)
      • 거듭제곱 (1)
    • AI (3)
      • 머신러닝 (1)
      • 딥러닝 (1)
    • 3D Engine (6)
      • Cesium (3)
      • Graphics (3)
    • 일상 (3)
  • 방명록

전체 글 (26)
Zero-Copy (Kafka가 빠른 이유)

들어가기에 앞서 일반적인 서버의 목적은 클라이언트 요청에 대해 적절한 응답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반환하는 것입니다.즉, 대부분의 서버는 다음과 같은 단순한 I/O 루틴을 반복합니다."입력(요청)을 받고 → 출력(응답)을 보낸다." 예를 들어, 웹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정적 파일(HTML, 이미지 등)을 전송하고,WAS(Web Application Server)는 DB에서 읽어온 사용자 데이터를 API 응답으로 보내며,FTP 서버는 파일을 반환합니다. 이러한 동작들은 모두 단순한 코드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read(fd, buffer, size);send(socket, buffer, size);하지만 이 단순한 동작 이면에서는 여러 번의 데이터 복사와 사용자 공간(user space)과 커널 공간..

컴퓨터과학/운영체제 2025. 5. 31. 20:35
Log-based System: Append-Only와 WAL

로그는 왜 중요할까요?단순한 기록처럼 보이던 로그가, 어떻게 시스템 간 데이터 흐름, 복구, 재처리, 확장을 가능하게 만드는 걸까요?이 글에서는 로그 기반 아키텍처의 핵심 철학을 정리했습니다. 들어가기에 앞서 우리는 서비스를 만들 때 다양한 시스템을 함께 사용합니다.데이터베이스(DB): 사용자 정보, 거래 내역 등 구조화된 데이터를 저장캐시(Redis 등): 빠른 응답을 위해 임시로 데이터를 저장검색엔진(Elasticsearch): 텍스트 기반 검색과 분석을 지원분석 시스템(Hadoop, Spark): 데이터를 수집하고 집계하여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도출이 각각의 시스템은 서로 다른 목적과 다른 형식의 데이터 처리 방식을 갖고 있습니다. 문제는 여기서 시작됩니다.이 시스템들이 하나의 흐름 속에서 유기적으로..

컴퓨터과학/데이터베이스 2025. 5. 25. 20:42
UNIX Time-Sharing System (1974) 논문 정리: File, System Call, inode, Mount

시분할(Time Sharing)은 하나의 컴퓨터 자원을 여러 사용자가 시간을 나눠가며 동시에 사용하는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 기술입니다.혹은, 한 사용자가 여러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처럼 보이게 만들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노래를 들으면서 게임을 하고 있는데, 그 와중에 친구에게 카카오톡 메시지가 도착했다고 해봅시다.사실 컴퓨터는 한 번에 하나의 작업만 처리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하지만 CPU는 각 작업에 아주 짧은 시간(몇 밀리초)을 번갈아가며 배정해주기 때문에 사용자는 마치 노래, 게임, 메신저가 동시에 작동하는 것처럼 느끼게 됩니다.이처럼 짧은 시간 단위로 작업을 나누어 번갈아 실행하는 방식이 바로 시분할(Time Sharing)입니다. UNIX는 이 시분할(Time Sharing) 개..

컴퓨터과학/운영체제 2025. 5. 12. 01:26
3D Tiles 1.0 주요 포맷 정리: B3DM

목차1. 3D Tiles 개요2. B3DM (Batched 3D Model)3. B3DM이 필요한 이유4. B3DM이 제공하는 해결책5. B3DM의 식별성과 속성 관리6. B3DM 내부 구조  6-1. Header  6-2. Body    6-2-1. Feature Table (* 필수)    6-2-2. Batch Table (선택)    6-2-3. Binary glTF 또는 GLB (* 필수)7. B3DM Padding 정렬 규칙8. B3DM 요약9. 참고 자료3D Tiles 개요3D Tiles는 대규모 3차원 공간 데이터를 웹에서 효율적으로 스트리밍하고 렌더링하기 위한 오픈 표준 포맷입니다.주로 CesiumJS, Google Maps, NVIDIA Omniverse와 같이 3D GIS, BIM, ..

3D Engine/Cesium 2025. 4. 20. 20:34
glTF 2.0 구조 및 구성 요소

개요glTF (GL Transmission Format)은 3D 콘텐츠의 효율적인 송수신 및 로딩을 위한 표준 파일 포맷입니다. JSON으로 메타데이터를 정의하며, 바이너리(blob) 데이터를 통해 정점, 텍스처, 애니메이션 등의 실질 데이터를 포함합니다.텍스트(JSON) + 바이너리(Buffer) 구조파일 포맷:.gltf : JSON + 외부 bin + 외부 texture.glb : JSON + bin + texture를 하나의 바이너리로 내장⚠️ 주의: glTF 또는 GLB는 3D Tiles 포맷이 아니고, 3D Tiles 의 구성 요소가 될 수는 있습니다. glTF 객체 계층 구조glTF는 JSON 구조로 메타데이터를 표현하고, 바이너리로 실제 데이터(buffer)를 저장합니다.주요 구성 요소:sc..

3D Engine/Cesium 2025. 4. 17. 13:03
딥러닝 모델 개념 정리: RNN, LSTM, GRU, CNN, Transformer

딥러닝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면서 텍스트, 음성, 이미지, 시계열 데이터와 같이 시간적 흐름이나 공간적 패턴을 가진 데이터를 다루는 일이 많아졌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다양한 신경망 구조들이 제안되었고, 각 모델은 목적과 특성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대표적인 딥러닝 모델인 RNN, LSTM, GRU, CNN, Transformer의 개념과 특징을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내용 중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RNN (Recurrent Neural Network) RNN은 문장이나 음성처럼 순차적인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고안된 구조입니다.이전 단계의 출력을 현재 입력과 함께 처리함으로써, 시간에 따라 정보를 누적하고 기억..

AI/딥러닝 2025. 4. 8. 22:01
이전 1 2 3 4 5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 implict titling
  • event srource
  • b3dm
  • 머신러닝
  • child subtree availability
  • Kafka
  • the unix timesharing system
  • z-order
  • kernel space
  • zero-copy
  • tile availability
  • explicit tiling
  • 3d tiles 1.0
  • transferto()
  • redis
  • event streaming
  • sendfile()
  • 오차 최소화
  • z-order curve
  • Live BMW
  • cpu i/o
  • user space
  • append only
  • Cesium
  • content availability
  • bgsave
  • .b3dm
  • redis bgsave
  • morton order
  • implicit tiling
more
«   2025/08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